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건강보험 EDI 이용 관련으로 자주 민원이 발생하는 내용을 정리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건강보험 EDI 사용은 인터넷 웹망을 이용하기에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 접근 오류가 다소 발생할 수 있지만 천천히 살펴보면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는 내용들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사업장 회원으로 가입 (건강보험 사업장으로 적용된 사업장만 가능)
b. 웹 EDI 서비스 공인인증서 등록
a.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사업장 회원 가입이 되어있는지 확인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회원가입/아이디/비밀번호 찾기/사업장/사업장회원/건강보험 적용된 사업장관리번호 입력 후 확인/ 사업장등록번호 입력 후 확인/가입된 경우 아이디 확인 가능)
b. 가입정보 정상인 경우: 제어판⇒프로그램 제거⇒보안프로그램 삭제(Xecure Web Control) 후 공인인증서 재등록
a. 인터넷 창을 모두 닫기하고 새 인터넷 창에서 도구>인터넷 옵션>메뉴(개인정보)>팝업차단 체크 해제
b. 제어판>프로그램 제거>Internet Explorer google toolbar 있는 경우 삭제
a. 수동설치(보안 및 에라 조치방법>오른쪽 위아래 긴 메뉴바에 수동설치 안내)
※ 위 방법시도 후에도 문제가 있는 경우 오른쪽 버튼을 눌러주세요(조치방법 안내)>수동설치 요령-노랑색(바로삭제)>파랑색(바로설치)를 순서대로 설치 진행
b. 위 설치 진행이 안되는 경우 1588-7895(투비소프트)에 연락하여 설치 해결
(-->공인증서 1개로 여러개의 사업장을 등록한 경우도 동일)
a.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사업장회원 가입여부 확인
b. 웹 EDI 서비스 공인인증서을 재등록.
c. 재등록 이후에도 안되는 경우 컴퓨터 재시작 후 보안프로그램 삭제(Xecure Web Control) 웹 EDI 홈페이지 재접속 후 공인인증서 재등록
웹 EDI 서비스 홈페이지 보낸 문서에서 신고(신청) 내역의 접수, 처리결과, 반송결과 확인 가능하며, 상실인 경우 자격상실과 퇴직정산이 완료되어야 결과를 확인 가능
a. 엑셀서식 별로 특수문자(‘ - . 등) 표기된 경우
b. 작성부호(코드) 오류인 경우(파일 사양서에 표기된 부호(코드)로 작성)
c. 사업장에서 작성 후 다른 버전으로 저장된 경우 업로드 시 해당 버전을 찾아 업로드 해야함
a. 웹 EDI 환경설정에서 보이지 않는 기관의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미등록된 사업장을 체크해서 등록
b. 고용 산재 기관이 보이지 않는 사업장은 월납이나 분기납 사업장인지 확인(월납이나 분기납 사업장은 웹 EDI에서 신고할 수 없고 해당 기관에 직접 신고해야함)
a. 사업자등록번호 변경 없이 사업장관리번호만 변경(통합번호로 변경) 기존과 동일하게 사용 가능
b. 사업장등록번호 변경된 경우 사업장회원 신규 가입 후 웹EDI 서비스 공인인증서 등록
사업장 회원가입→아이디/비밀번호 찾기→사업장(아이디/비밀번호 찾기 클릭)
전화 1577-1000번 일반상담원을 통해 IT 전문상담원으로 연결
TouchEnNxWeb 보안프로그램에 의해 화면 캡쳐는 차단되었습니다.
재 발급기관에서 갱신 또는 재발급 받아 웹 EDI홈페이지 → 공인인증서 등록
건강보험 적용사업장으로 사업자등록증 상 세무사, 회계사 노무사로 등록되어 있어야 하며, 공단 웹 EDI 가입 후 EDI로 업무대행 지정 신청
15. 건강보험 업무 대행 지정기관으로서 업무대행을 위임받고자 하는 경우?
위임받고자 하는 사업장 사용자(대표자)의 위임장을 첨부하여 웹 EDI로 업무대행 위임 신청
공인인증서 로그인 후 홈페이지 상단의 공인인증서 등록 메뉴에서 EDI 서비스 이용해지 버튼 클릭
위의 내용에 보기와 같이 건강보험 EDI 이용 관련으로 자주 민원이 발생하는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국민건강보험 EDI 자격취득/상실 신고 방법
오늘은 국민건강보험 EDI 자격취득/상실 신고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업무별 신고(전송)/신청 매뉴얼 4대보험 공통신고 방법으로 직장가입자 자격 취득 신고서(피부양자 포함)와 직장가입자 자
need.tistory.com
세금 3.3% 환급 받아내는 간단한 방법
세금 3.3% 관련으로 크게 2가지 내용으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우선 세금 3.3% 환급 을 설명드리고 다음에는 세금3.3% 계산기 내용으로 포스팅하려고 하는데 차후에 글 하단에 관련 링크
nee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