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린대로 거둔다 사자성어 는 말 그대로 4개의 한자로 이루어져 교훈이나 유래를 담은 글로 말 그대로 좋은 일을 하면 좋은 일로 돌아오고 나쁜 일을 하면 나쁜 일로 돌아온다는 속담과 같은 뜻으로 비슷한 사자성어 몇 가지를 소개드리겠습니다.
불교에서 지은 죄가 있으면 반드시 벌을 받고 착한 일을 하면 좋은 보답을 받게 된다는 설교 내용으로 전생에 지은 선악에 따라 현재의 행복과 불행이 있고, 현재 삶에서 선악의 결과에 따라 다음 생에 행복과 불행이 있다는 뜻으로 뿌린대로 거둔다 사자성어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착한 일을 권장하고 악한 일은 벌한다는 뜻으로 공자(孔子)가 편찬한 춘추 좌씨전(春秋 左氏傳) 서에서 유래한말로 악한 행위는 벌하여 똑바로 잡고 선한 행위는 권장하여 장려한다는 뜻으로 공자 삶의 태도와 같은데 옳고 그름을 분명히 따져서 충신과 효자에게는 상을 주고 나라를 어지럽히는 간신이나 부도덕한 자들에게는 엄격히 벌을 주었다고 합니다.
무슨 일이든 결국 옳은 이치대로 돌아간다는 뜻의 고사성어인데 쉽게 다시 설명을 드리면 올바르지 못한 것이 잠시 기승을 부리는 것 같지만 결국 오래가지 못하고 반드시 올바른 길로 돌아가게 된다는 뜻으로 역시 뿌린대로 거둔다 사자성어와 비슷한 맥락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이 저지른 일의 과보나 업이 본인 자신에게 돌아감을 뜻하는데 곧 자신이 스스로 저지른 결과라는 뜻으로 잘못 오해할 수 있는게 열심히 노력해서 성공했거나 성과를 이룩했을 때는 자업자득 이라는 표현은 옳지가 않습니다.
출호이자반호이(出乎爾者反乎爾) 출전에서 맹자(孟子)자 한 말로 너에게서 나간 것은 너에로게로 돌아온다 즉, 자신이 행한 일은 결국 자신에게 돌아간다 라는 심오한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결국은 일을 만든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일을 저지른 사람이 그 일을 책임지고 해결해야 한다는 말로 우리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고사성어로 뿌린대로 거둔다 사자성어와 역시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콩 심은데 콩이난다. 원인에 따라 결과가 나온다는 말과 비슷한 뜻으로 사자성어로는 종맥득맥 (種麥得麥), 종과득과(種瓜得瓜)가 있는데 한자가 너무 어렵고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아 제외하였으니 참고정도로 알고 계시면 좋겠습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뿌린대로 거둔다 사자성어를 소개하며 굳이 영어로 표현한다면 You Reap What You Sow 가 되겠는데 참고로 여기서 Reap은 거두다, 수확하다 이며, Sow는 심다, 씨를 뿌리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서 의미가 비슷해 같이 설명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 등기부등본 열람을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부동산 등기부등본 열람 및 발급 방법을 온라인에서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부동산 등기부등본 열람 및 발급 방법을 온라인에서 간편한 이
need.tistory.com
한전 전기요금 조회 전기요금 계산기 1분만에
한전 전기요금 조회를 PC와 스마트폰에서 알아보는 방법과 전기요금 계산기를 이번 시간에 설명하려고 하는데 여러분들은 혹시 전기세와 전기요금의 용어 차이를 아십니까? 세금은 헌법에 명시
need.tistory.com